처음과 달리, 이제와 항상 다음을

지다율

당신의 처음과 우리의 다음을 기다리며
음, 으로 시작하는 글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더욱이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하는 일종의 ‘선언문’에서 말입니다. 모름지기 선언문이라면 “하나의 유령이 유럽을 떠돌고 있다” 정도로 시작하여, “만국의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 정도로 끝맺어야 할 것 같으니까요. 그런데 탄식하듯 내뱉는 “음”이라니요. 여전히 정리되지 않은 생각들을 숙고하듯 새어 나오는 “음”이라니요. 읽으시는 분들 눈에 썩 믿음직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이 소리는 대개 머뭇거림이고, 갈팡질팡이며, 모호함이니까요.
음, 그럼에도 굳이 이 소리로 두 번째 문단까지 열어 봅니다. 처음의 ‘음’보다는 조금 낮게, 그리고 조금 더 길게. 음—-, 이런 느낌으로. 진언 같은 이 소리를 자꾸 내다 보니 시간은 하염없이 가고, 기어이 이런 반성이 깃듭니다. ‘처음’을 ‘첨’으로, ‘다음’을 ‘담’으로 줄여 부르는 게 어느새 일상이 되어 버린 세상에서, 구태여 ‘음’을 꾹꾹 누르듯 발음하는 일은 어쩌면 미련한 짓은 아닐까 하고요. 한편으로는 이 미련한 짓을 나 혼자만 하는 것은 아니겠지 불안해하면서, 이 미련한 짓을 나 혼자만 할 수는 없지 결심도 해 보면서.
음, 결국 세 번째 고집을 부리고 나자 조금 미안한 생각이 드는군요. 딱히 할 말을 정해 놓은 건 아니었어요. 어떤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 놓은 것도 아니었어요. 사과할게요. 미안합니다. 하지만 우리의 작은 결심만은 당신에게 다가갔으면. 어쩌면 지금 들리는 세상의 그 어떤 소리보다, 누군가 입을 열기 전의 그 숙고들, 그리고 입을 다문 후의 그 침묵들이 더 소중할 수도 있다고, 그리하여 그 수많은 ‘음’들을 기다리며 가지런한 입술들을 우리는 바라보겠다고. 처음의 ‘음’과 다음의 ‘음’, 그리고 그다음에 올 ‘음’들은 분명 다를 것이라는 믿음으로.
(17.07.12.)

[노트]
선언문 같은 걸 쓰고 싶었나. 수신되지 않을 편지를 쓰고 싶었나. 편않 초기 멤버들은 블로그(이제는 쓰지 않는다)를 시작하면서 각자 짧은 글을 싣기로 했고, 나는 저런 걸 썼다. 5년 가까이 흘렀어도 저 생각으로 계속하고 있으니, 조금쯤은 대견하다 할 수 있을까. 그래, 거창한 시작은 가당치도 않지. 한 걸음씩 나아가고, 한 뼘씩 성장하기를 바랄 뿐. 그러니까 저 앙다문 입술이 언젠가 열릴 때까지, 나는 또 헷갈려하며 미안해야지, 머뭇거리며 믿음을 결심해야지.
(22.04.09.)

새해는 두 번 반복됩니다. 처음에는 신정으로, 다음에는 구정으로. 아니, 처음에는 양력설로, 다음에는 음력설로. 이 두 개의 시간이 하나의 달력 안에서 흐르는 것을 바라보면서, 잠시 이상한 생각에 잠겨 봅니다. 내 안에서도 ‘두 개의 시간’이 흐르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무엇인가를 선택했을 때의 시간과 그렇지 않았을 때의 시간, 그 무수한 ‘두 개의 시간들’로 이루어진 것이 내가 아닐까 하고요. 그런 의미에서 ‘두 개의 시간’이란 곧 ‘하나의 시작’에서 비롯되고, 따라서 반복되는 것처럼 보였던 ‘시작’은 늘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닐까 하고요.
(중략)
이렇듯, 우리는 늘 새로운 시작을 맞습니다. 원하든 원치 않든요. 그러나 모든 것이 변해도 결코 변하지 않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시작은 결국 시작된다는 것. 이 새로운 시작점 앞에서 우리는 어떤 말을 해야 할까요. 상대방이 덕담이랍시고 내뱉은 그 말이 때로 저주처럼 들릴 때가 있습니다(지난 음력설을 떠올려 보십시오). 그래도, 조금 늦긴 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그리고, 우리, 시작합시다, 변함없이. 이 말이 저주가 아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20.03.01.)

참담합니다. 행사 때문에 나와 있지만, 오늘은 애도하는 마음으로 지내겠습니다.
(22.10.30.)

제14회 언리미티드 에디션(UE14)을 마쳤습니다. 언리밋은 물론이고 이런 행사 자체가 처음이라 많이 서툴렀는데, 관심 보여 주신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무엇보다 잘 하고 있다고, 하던 걸 계속하라고 응원해 주신 분들, 덕분에 힘이 났습니다. 사실 우리가 여기 나온 게 과연 잘한 일이었을까, 뭔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건 아닐까, 고민도 없지는 않았거든요. 가져갔던 책 박스들을 거의 그대로 가져오면서는, 몸도 맘도 무거웠거든요. 그래도 계속해 봐야겠지요. 이제 겨우 처음이니까, 또 다음이 있으니까.
그리고 어떤 일은 처음도 일어나서는 안 되고, 다음은 더더군다나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 그런 일은 무수히 반복되어도, 늘 처음 같습니다. 그럴 때마다 애도하며, 다짐합니다. 절대 익숙해지지 말자고, 결코 무뎌져서는 안 된다고.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말은 아끼되 마음은 아끼지 않겠습니다.
(22.11.01.)

오늘도 오도카니도, 없는 나날들. 말도 안 되는 일들과, 할 말 없게 만드는 종자들. 이제 그만, 엔간히들 하고 물러나세요. 아무리 봐도 거긴, 니네들 자리가 아닙니다.
(22.11.06.)

잡지 『편집자는 편집을 하지 않는다』 ∞호의 주제는 ‘무한대, 우리의 팔자’였습니다.
이미 온라인으로 발행된 해당 호 콘텐츠들은 각자가 생각하는 ‘무한’, ‘운명’ 등을 각자의 방식으로 담았는데요.
이에 맞추어 저희 잡지 고정 인터뷰 코너인 ‘격자로운 시공간’(줄여서 ‘격자시공’)도 특별하게 꾸미고 싶었습니다.
하여 UE14 현장에 함께 있었던 8(‘∞’를 바로 세우면….)팀의 글을 싣고자 합니다.
‘그날, 그곳’이라는 접점을 통해 어떤 사연과 사람, 사건과 사정 등이 있었는지를 자유롭게 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팀 결성 계기, 작업물 소개, 특별하거나 사소한 에피소드 등이 담겨도 좋고요, 아예 정체 모를 글도 좋습니다.
분량도 약 2천 자라고는 했습니다만, 쓰시고 싶은 글에 적합한 분량이 있다면 그렇게 진행해 주셔도 됩니다.
(22.11.30.)

새해고 자시고. 그냥, 함께 좀 타자, 제발.
|후원계좌| 국민은행 : 009901-04-017158(예금주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23.01.03.)

반복이, 두렵다.
(23.01.10.)